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

#15.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by 캔버스토리 Canvastory 2022. 9. 9.

요약: 블록체인-데이터-구조에 새로운 트랜잭션 추가 또는 변경하기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는 논리적 흐름에 따라 작성된 시리즈물이다. 기반 지식이 있다면 필요한 내용만 골라 보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생소하다면 처음부터 순서대로 읽는 것을 추천한다.

 

- 처음 글 : #0.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 이전 글 : #14.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셋째 마당 (8~21단계) 키워드: 블록체인의 주요 개념과 기술

 

[15단계] 잘 뜨개질된 블록체인, 어떻게 변경할까? 새 트랜잭션 추가 및 변경하기

 

 새로운 트랜잭션 데이터를 블록체인-데이터-구조에 추가하려면 다음의 세 단계를 거쳐야 한다.
 -
새로 추가될 모든 트랜잭션 데이터를 담고 있는 새 머클 트리 생성
 -
이전 블록 헤더를 가리키는 해시 참조새로운 트랜잭션 데이터를 담고 있는 머클 트리의 루트포함하는 새 블록 헤더 생성
 -
새 블록 헤더를 가리키는 해시 참조를 생성하고 이것을 블록체인-데이터-구조의 새로운 헤드로 갱신

 

 블록체인-데이터-구조의 데이터를 변경하려면 조작된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가리키는 해시 참조에서부터 블록체인-데이터-구조의 헤드까지, 모든 해시 참조를 완전히 갱신해야만 한다.

 

 블록체인-데이터-구조는 내용 변경에 있어서는 철저히 모-아니면-도의 철학을 구현했다. 변경된 부분부터 헤드까지 전체 체인을 완전히 변경하거나 애초에 변경할 생각 말고 내버려 둬야 한다.

 

 이도 저도 아니게 중간에 수정하다 말거나 일부만 수정하면 전체 블록체인-데이터-구조의 일관성이 손상되고 이는 즉시 감지된다.

 

 블록체인 데이터를 변경하는 작업은 대단히 힘들다. 의도적으로 어렵게 설계해 놓은 프로세스 때문이다. 이는 전체 블록체인-데이터-구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 과정이다.

 

 블록체인-데이터-구조가 변경에 대단히 민감한 것은 해시 참조의 성질 때문이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독서 기록] 최고의 블록체인 입문서 (블록체인 무엇인가?)

[독서 기록] 비트코인부터 시작하는 블록체인 & 가상화폐 입문서 (외계어 없이 이해하는 암호화폐)

[독서 기록]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가볍게 접하는 입문서 (만화로 배우는 블록체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