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 차 -
1. Input + Output 함께 기록
2. 한 페이지 요약
3. 마무리
보통 한 달에 5권 정도 읽는 것 같다.
대략 일주일에 1권 정도다.
그렇게 나는 항상 책을 읽고 있다.
하지만 지식은 휘발성이 대단히 높다.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일수록
이전에 받아들인 지식은 잊혀진다.
그래서 기록하기 시작했다.
책을 읽었던 내 시간과 노력도 함께 날아가는 것만 같아서. 그게 너무 아까웠다.
처음에는 단순히 좋은 문장을 그대로 옮겨 적었다. 스스로 잘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렇게 적어 놓은 걸 나중에 한 번이라도 다시 봤을까?
ㅋ
절대.
결국 또 헛짓거리만 했다.
아니, 어쩌면 역행했을지도?
책 읽느라 시간 쓰고,
옮겨 적느라 시간 또 쓰고.
독서 기록 방법을 여러 번 바꿨다.
이 사람이 추천하는 거,
저 사람이 추천하는 거,
느낀 점도 함께 적어 보고,
나름 요약도 해보고,
재구성도 해보고.
그러다 지금의 방법에 도달했다.
분명 더 좋은 방법이 있을 것이고,
언젠가 또 바꾸겠지만,
중간점검 차원에서 지금의 독서록 양식을 공유해본다.
핵심은 두 가지다.
① 책에서 얻은 인풋과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아웃풋을 함께 적어라
② 한 페이지에 모든 내용을 때려 넣어라
Input + Output 함께 기록
- Input: 책 내용 · 지식 정리
- Output: 감상 · 행동변화 · 아이디어
책에 나와 있는 내용만 정리하는 걸로는 부족하다. 애초에 책을 왜 읽었는지 생각해보자. 지적 유희를 위한 것이 아닌 이상, 무언가를 배워서 적용하고 활용하려고 했던 게 아니었나. 그럼 당연히 그 내용도 함께 적는 게 타당하지 않을까. 이 책을 읽고 어떤 생각을 했는지, 당장 어떤 내용을 내 행동에 적용할 수 있을지, 번쩍 떠오르는 아이디어는 없는지 기록해보자.
강원국 작가님의 「대통령의 글쓰기」 책에서도 비슷한 내용이 등장한다. 김대중 대통령님이 사용했던 방법이란다. 한쪽 칼럼에 책 내용을 쭉 쓰고, 다른 한쪽에 자신의 생각을 쭉 써 내려가며 생각을 정리하셨다고 한다.
성공한 사람 모두가 책을 읽으라고 말한다. 그런데 나는 책을 많이 읽었는데도 성공과는 거리가 멀다. 어떻게 된 걸까? 그들이 거짓말은 한 걸까? 아니. 인풋만 왕창 집어넣고 아웃풋은 하나도 안 냈으니까. 앉아서 생각만 하고 행동을 안 했으니까. 그러니 현실이 바뀔 리가 있나. 그러니까 아웃풋을 함께 적어야 한다.
한 페이지 요약
어지간해서는 예전에 내가 썼던 글을 다시 읽지 않는다. 더욱이 그 글 분량이 많다면? 어우.. 쳐다보기도 싫다. 새로운 책을 읽고 최신 정보를 받아들이기에도 바쁜데 굳이? 싶다.
하지만 그 내용이 고작 한 장이라면? 그 정도면 뭐, 필요할 때 언제든지 찾아가서 가볍게 읽을만하지 않은가. 전혀 부담이 없다. 심지어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다. 몇 초면 훑어보고 그때의 감상과 깨달음을 상기해볼 수 있다.
정말 내용이 알찬 책을 읽으면 한 장으로 축약하기 어려울 때도 있다. 그래도 어떻게든 한 장에 전부 때려 넣어라. 그리고 나머지 내용은 독서 기록이 아닌, 보고서나 시리즈물로 작성하면 된다. 실제로 지금 내가 그렇게 하고 있다. 블록체인 작동원리를 쉽게 알려주는 책을 읽었는데, 한 장으로 기록하기에는 너무 아까워서 25개 시리즈물로 포스팅하고 있다.
마무리
지금까지 시행착오를 겪으며 도달한 독서록 작성 방법을 공유했다.
핵심은 두 가지다.
① 책에서 얻은 인풋과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아웃풋을 함께 적어라
② 한 페이지에 모든 내용을 때려 넣어라
두 가지를 합쳐서 만들어진 독서록 양식은 아래 이미지와 같다.
독서록 양식 파일도 함께 올려드리니 활용해보시라. 좀 더 생산적인 독서를 할 수 있기를, 그리하여 우리의 인생이 좀 더 발전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해본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독서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제로 배우는 블록체인 핵심 기술 (블록체인 구조와 이론) (2) | 2022.10.01 |
---|---|
비트코인부터 시작하는 블록체인 & 가상화폐 입문서 (외계어 없이 이해하는 암호화폐) (0) | 2022.09.04 |
최고의 블록체인 입문서 (블록체인 무엇인가?) (0) | 2022.08.17 |
내 인생의 ‘단 하나’는 무엇인가? (원씽) (0) | 2022.08.14 |
Lucky = Luck + Key. 인생을 성공으로 이끄는 열쇠 (럭키) (0) | 2022.08.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