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

#1.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by 캔버스토리 Canvastory 2022. 8. 22.

Summary: 시스템을 보는 눈 장착하기. 시스템을 계층과 측면으로 분리해 분석하기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는 논리적 흐름에 따라 작성된 시리즈물이다. 기반 지식이 있다면 필요한 내용만 골라 보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생소하다면 처음부터 순서대로 읽는 것을 추천한다.

 

- 이전 글 : #0.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첫째 마당 (1~3단계):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무결성, 이 두 가지 개념과 블록체인의 연관성, 블록체인의 목적과 잠재력

 

[1단계. 시스템을 보는 눈 장착하기. 시스템을 계층과 측면으로 분리해 분석하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분해서 분석할 수 있다.
 -
응용계층과 구현계층
 - 기능적 측면과 비기능적 측면

 

 응용계층은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구현계층 요구사항을 실현해 주는 기술적 측면에 중점을 둔다.

 

 기능적 측면행위, 비기능적 측면은 그 행위를 어떤 식으로 했는가에 중점을 둔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응용계층의 기능적 측면에만 관심이 있고, 비기능적 측면 특히 구현계층의 비기능적 측면은 잘 알지 못한다.

 

 무결성은 시스템이 의도한 대로 작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보안과 정확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모든 소프트웨어 시스템에서 무결성은 아주 중요한 비기능적 측면이며, 무결성의 3가지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다.
 -
데이터 무결성: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유지 관리하는 데이터는 완전하고 정확하며 모순이 없다.
 -
작동 무결성: 시스템이 의도한 대로 작동하며 논리적 오류가 없다
 -
보안: 시스템이 허가받은 사용자에게만 데이터 및 기능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데이터 손실, 비논리적 작동, 개인정보에 대한 외부인의 접근 같은 소프트웨어 오작동은 시스템의 무결성이 침해된 결과이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독서 기록] 최고의 블록체인 입문서 (블록체인 무엇인가?)

[독서 기록]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가볍게 접하는 입문서 (만화로 배우는 블록체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