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시스템을 보는 눈 장착하기. 시스템을 계층과 측면으로 분리해 분석하기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는 논리적 흐름에 따라 작성된 시리즈물이다. 기반 지식이 있다면 필요한 내용만 골라 보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생소하다면 처음부터 순서대로 읽는 것을 추천한다.
- 이전 글 : #0.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첫째 마당 (1~3단계):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무결성, 이 두 가지 개념과 블록체인의 연관성, 블록체인의 목적과 잠재력
[1단계. 시스템을 보는 눈 장착하기. 시스템을 계층과 측면으로 분리해 분석하기]
■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분해서 분석할 수 있다.
- 응용계층과 구현계층
- 기능적 측면과 비기능적 측면
■ 응용계층은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구현계층은 요구사항을 실현해 주는 기술적 측면에 중점을 둔다.
■ 기능적 측면은 ‘행위’에, 비기능적 측면은 그 행위를 ‘어떤 식으로 했는가’에 중점을 둔다.
■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응용계층의 기능적 측면에만 관심이 있고, 비기능적 측면 특히 구현계층의 비기능적 측면은 잘 알지 못한다.
■ 무결성은 시스템이 의도한 대로 작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보안과 정확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모든 소프트웨어 시스템에서 무결성은 아주 중요한 비기능적 측면이며, 무결성의 3가지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다.
- 데이터 무결성: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유지 관리하는 데이터는 완전하고 정확하며 모순이 없다.
- 작동 무결성: 시스템이 의도한 대로 작동하며 논리적 오류가 없다
- 보안: 시스템이 허가받은 사용자에게만 데이터 및 기능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 데이터 손실, 비논리적 작동, 개인정보에 대한 외부인의 접근 같은 소프트웨어 오작동은 시스템의 무결성이 침해된 결과이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0) | 2022.08.26 |
---|---|
#4.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6) | 2022.08.25 |
#3.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1) | 2022.08.24 |
#2.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3) | 2022.08.23 |
#0.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0) | 2022.08.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