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P2P 시스템의 특징과 잠재력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는 논리적 흐름에 따라 작성된 시리즈물이다. 기반 지식이 있다면 필요한 내용만 골라 보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생소하다면 처음부터 순서대로 읽는 것을 추천한다.
- 처음 글 : #0.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 이전 글 : #2.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 첫째 마당 (1~3단계) 키워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무결성, 이 두 가지 개념과 블록체인의 연관성, 블록체인의 목적과 잠재력
[3단계] P2P 시스템의 엄청난 잠재력. P2P 시스템이 세상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 P2P 시스템은 여러 노드(개별 컴퓨터)들로 구성된 분산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한 노드의 자원(계산 능력, 저장 공간 등)을 다른 노드들이 직접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 P2P 시스템에 참여하면 사용자의 컴퓨터는 시스템의 노드로 전환되고, 시스템의 모든 노드는 동일한 기능과 책임을 갖는다. 따라서 모든 사용자의 컴퓨터는 자원의 공급자인 동시에 소비자가 된다.
■ P2P 시스템의 장점은 중개자에 의존하지 않고 사용자끼리 직접 상호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중개자를 P2P 시스템으로 대체하면 속도는 더 증가하고 비용은 더 감소한다.
■ P2P 시스템은 중앙 통제형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순수 분산형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 P2P 시스템은 구조 자체가 분산 컴퓨터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개별 노드로 구성된 컴퓨터들이 서로 자원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앙 통제 요소를 가지는 P2P 시스템도 있다. 중앙 통제 P2P 시스템은 중앙 노드를 이용해 노드 간 상호작용을 중재하고, 피어 노드가 제공하는 서비스 목록들은 유지 관리하고 노드를 검색하고 식별한다. 중앙 통제 P2P 시스템은 대개 앞선 2단계에서 설명한 혼합형 아키텍처를 활용한다.
■ 순수 분산형 P2P 시스템은 중앙 통제 없이 동등한 구성원으로서 상호작용한다.
■ 냅스터는 음악시장의 전통적 사업모델을 파일 공유 시스템이라는 새로운 세계로 이끌며 P2P 시스템의 위력을 증명해 보였다.
■ 무형의 상품이나 디지털 상품 혹은 서비스를 중개하는 역할을 주된 업으로 하는 모든 산업은 P2P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
■ 금융 시스템의 상당 부분은 디지털이나 무형의 형태로 존재하는 재화의 공급자와 소비자 사이의 단순 중개 역할이다. 그러므로 냅스터가 음악시장을 재편했듯이 금융산업 전반도 디지털화하여 P2P 시스템으로 재편될 것이다.
■ 디지털화가 지속될수록 일상생활의 더 많은 측면과 더 많은 상품 및 서비스가 무형화되어 P2P 시스템의 혜택을 누리게 될 것이다.
■ 블록체인에 열광하는 이유는 탈중개화를 통해 전체 산업 생태계를 변화시킬 잠재력을 지닌 순수 분산 P2P 시스템이 무결성의 확보와 유지를 위한 도구로 블록체인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0) | 2022.08.26 |
---|---|
#4.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6) | 2022.08.25 |
#2.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3) | 2022.08.23 |
#1.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2) | 2022.08.22 |
#0.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0) | 2022.08.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