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

#5.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by 캔버스토리 Canvastory 2022. 8. 26.

요약: 블록체인의 정의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는 논리적 흐름에 따라 작성된 시리즈물이다. 기반 지식이 있다면 필요한 내용만 골라 보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생소하다면 처음부터 순서대로 읽는 것을 추천한다.

 

- 처음 글 : #0.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 이전 글 : #4.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 둘째 마당 (4~7단계) 키워드: 블록체인이 해결해야 하는 문제와 그 중요성, 블록체인의 가치가 가장 잘 발휘될 수 있는 환경, 블록체인과 신뢰성, 무결성, 소유권 관리 사이의 관계

 

[5단계] 그래서 블록체인이 뭔가요? 블록체인을 정의하는 네 가지 방법

 

 블록체인이란 용어는 문맥과 사람에 따라 조금씩 다른 의미로 쓰인다.

 

 블록체인은 다음과 같은 의미로 쓰일 수 있다.


 -
데이터 구조의 명칭: 블록이라 불리는 단위에 모인 모든 데이터를 지칭한다. 이 블록들은 책을 구성하는 페이지들과 유사하게 마치 체인처럼 서로 연결된다.


 -
알고리즘의 명칭: 알고리즘이란 컴퓨터가 실행해야 할 일련의 명령어들을 의미하고, 이 명령어들은 대개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순수 분산 P2P 시스템에서 여러 블록체인-데이터-구조 내의 정보 내용을 민주주의 투표 방식과 비슷한 방법을 써서 서로 협상하는 일련의 명령어를 의미한다.


 -
기술 묶음의 명칭: 블록체인-데이터-구조, 블록체인-알고리즘, 암호화 및 보안 기술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들의 조합은 응용분야와 상관없이 순수 분산 P2P 시스템의 무결성을 확보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
일반 응용분야를 가지는 순수 분산 P2P 시스템을 포괄하는 용어: 블록체인-기술 묶음을 활용하는 거래장부(이하 원장 ledger)들의 순수 분산 P2P 시스템을 지칭하는 포괄적인 용어로도 사용된다.

 이 시리즈물의 나머지 부분에서 블록체인이라 말할 때는 블록체인-기술 묶음을 활용하는 원장의 순수 분산 P2P 시스템을 지칭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한다. 다른 의미로 사용할 때는 명시적으로 블록체인-데이터-구조, 블록체인-알고리즘 등으로 표기한다.

 

 블록체인의 가장 중요한 응용사례는 소유권을 관리하고 명확화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만이 블록체인의 전부는 아니다.

 

 블록체인이란 무결성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해 순서에 따라 연결된 블록들의 정보 내용을 암호화 기법과 보안기술을 이용해 협상하는 알고리즘으로 구성된 소프트웨어 요소를 활용하는 원장의 순수 분산 P2P 시스템을 의미한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독서 기록] 최고의 블록체인 입문서 (블록체인 무엇인가?)

[독서 기록]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가볍게 접하는 입문서 (만화로 배우는 블록체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