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블록체인의 정의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는 논리적 흐름에 따라 작성된 시리즈물이다. 기반 지식이 있다면 필요한 내용만 골라 보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생소하다면 처음부터 순서대로 읽는 것을 추천한다.
- 처음 글 : #0.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 이전 글 : #4.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 둘째 마당 (4~7단계) 키워드: 블록체인이 해결해야 하는 문제와 그 중요성, 블록체인의 가치가 가장 잘 발휘될 수 있는 환경, 블록체인과 신뢰성, 무결성, 소유권 관리 사이의 관계
[5단계] 그래서 블록체인이 뭔가요? 블록체인을 정의하는 네 가지 방법
■ 블록체인이란 용어는 문맥과 사람에 따라 조금씩 다른 의미로 쓰인다.
■ 블록체인은 다음과 같은 의미로 쓰일 수 있다.
- 데이터 구조의 명칭: 블록이라 불리는 단위에 모인 모든 데이터를 지칭한다. 이 블록들은 책을 구성하는 페이지들과 유사하게 마치 체인처럼 서로 연결된다.
- 알고리즘의 명칭: 알고리즘이란 컴퓨터가 실행해야 할 일련의 명령어들을 의미하고, 이 명령어들은 대개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순수 분산 P2P 시스템에서 여러 블록체인-데이터-구조 내의 정보 내용을 민주주의 투표 방식과 비슷한 방법을 써서 서로 협상하는 일련의 명령어를 의미한다.
- 기술 묶음의 명칭: 블록체인-데이터-구조, 블록체인-알고리즘, 암호화 및 보안 기술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들의 조합은 응용분야와 상관없이 순수 분산 P2P 시스템의 무결성을 확보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 일반 응용분야를 가지는 순수 분산 P2P 시스템을 포괄하는 용어: 블록체인-기술 묶음을 활용하는 거래장부(이하 원장 ledger)들의 순수 분산 P2P 시스템을 지칭하는 포괄적인 용어로도 사용된다.
■ 이 시리즈물의 나머지 부분에서 블록체인이라 말할 때는 블록체인-기술 묶음을 활용하는 원장의 순수 분산 P2P 시스템을 지칭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한다. 다른 의미로 사용할 때는 명시적으로 블록체인-데이터-구조, 블록체인-알고리즘 등으로 표기한다.
■ 블록체인의 가장 중요한 응용사례는 소유권을 관리하고 명확화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만이 블록체인의 전부는 아니다.
■ 블록체인이란 무결성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해 순서에 따라 연결된 블록들의 정보 내용을 암호화 기법과 보안기술을 이용해 협상하는 알고리즘으로 구성된 소프트웨어 요소를 활용하는 원장의 순수 분산 P2P 시스템을 의미한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1) | 2022.08.27 |
---|---|
#6.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0) | 2022.08.27 |
#4.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6) | 2022.08.25 |
#3.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1) | 2022.08.24 |
#2.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3) | 2022.08.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