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구조와 이론」 내용 중 문서 공증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에 대한 설명을 요약하여 소개한다. (p50~51) 이 책에 대한 독서기록 링크는 하단에 있으니 참고 바란다. 문서 공증 분야에서 가장 유망한 프로젝트 중 하나였던 '팩텀(Factom)' 플랫폼에 대해 알아본다. 추가적으로 데이터 이력관리 측면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는 Everledger사의 다이아몬드 거래 추적 사례도 간략하게 소개한다.
블록체인 기술의 응용: 문서 공증
문서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해 공증을 대체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에는 제삼자 기관을 통해 문서 공증을 받아야 했다. 예를 들어 PDF와 같은 전자 문서를 공증받고자 하는 경우 법무부의 지정 공증인을 통해 전자 서명이나 인증문 등을 넣는 방식으로 인증을 받아야 했다. 이런 방식의 공증은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대량의 문서에 적용하는 것은 비현실적이었다.
※ 참고) 법무부 전자공증시스템: https://enotary.moj.go.kr/
여기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보다 낮은 가격에 전자 문서를 공증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문서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해 문서의 존재 여부나 특정 시점에 문서가 변조됐는지 여부를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이것은 블록체인이 가진 ‘기록을 체인 상태로 결합’, ‘변조가 어려움’이라는 특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기록이 블록으로 연결돼 있기 때문에 특정 블록에 기록할 수 있는 시간은 과거의 특정 시간뿐이며, 나중에 과거의 블록은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없다. 바꿔 말하면 언제 정보를 저장했는지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증거가 된다. 이것을 문서에 응용하면 해당 문서가 언제 등록됐는지를 증명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에 저장된 과거 기록을 변경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블록체인에 기록된 내용과 문서 정보를 대조해 문서 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차이가 없다면 문서가 변조되지 않았다는 증명이 된다.
이처럼 블록체인을 활용해 제삼자 기관 없이도 문서를 공증할 수 있다. 그리고 문서의 공증에 드는 비용도 절감할 수 있어 보다 많은 문서를 변조의 위험 없이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와 같이 법 제도가 이를 뒷받침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의 전자공증 시스템을 살펴보면 전자공증 포털을 이용해 관리하게끔 돼 있다. 여기에는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방법은 언급되지 않는다. 실제로 블록체인을 활용해 문서를 공증하기 위해서는 이런 법 제도 역시 함께 바꿔나가야 할 것이다.
하지만 블록체인을 사용한 문서의 공증이 법적으로 허용될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한다. 일본에서는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문서를 전자 문서로 인정하지 않았지만, 2016년 10월부터는 이렇게 촬영한 문서도 전자 문서로 인정받게 됐다. 이처럼 기술의 진보에 따라 제도는 조금씩 변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도 이처럼 나중에는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해결해야 할 또 다른 문제는 종이 문서를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경우 문서를 디지털화해야 한다는 점이다. 변환한 직후 문서 변조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막을 방법은 없다. 블록체인 기술로는 등록되기 전의 내용에 대한 변조는 막을 수 없다. 기록 관리 플랫폼으로서의 블록체인은 매우 훌륭하지만, 이 문제 역시 해결해야 할 과제다.
문서 공증 사례: 팩텀 (Factom)
오픈 소스 프로젝트인 Factom은 전자 문서를 블록체인으로 관리해 공증하는 플랫폼이다. 전자 문서가 만들어진 날짜와 위조 여부를 증명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활용하고 있다.
Factom은 전자 문서 등으로부터 만든 ‘영구 타임스탬프 데이터 기록’을 블록체인에 함께 저장해 문서를 보증한다. 블록체인을 활용했기 때문에 낮은 가격에 대량으로 제삼자가 검증 가능한 형태로 문서 기록을 공증할 수 있다.
이 플랫폼의 흐름은 매우 단순하다. ①전자 문서의 해시값을 만들어 ②해시값을 일정 단위로 정리 ③그것을 블록체인에 기록. Factom은 해시값을 일정 단위로 만든 후 그것을 한 블록으로 만드는 기술을 채용해 대량의 문서를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블록체인 기술의 응용: 거래 관리
데이터 이력관리 측면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는 Everledger사의 다이아몬드 거래 추적 사례도 간략하게 소개한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을 이용한 탈중앙화 서비스 (3) | 2022.10.19 |
---|---|
탈중앙화를 위한 세 가지 요소와 프라이빗 블록체인 (0) | 2022.10.13 |
이더리움의 기술적 특징과 경쟁자들 (0) | 2022.10.13 |
비트코인의 기술적 특징과 경쟁자들 (0) | 2022.10.05 |
[완결]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블록체인 작동원리 25단계 (0) | 2022.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