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공유

사회초년생 통장쪼개기 _ 순자산 현황

by 캔버스토리 Canvastory 2021. 12. 26.
-   목  차   -

1. 통장쪼개기란
2. 목적 _ 편하게 관리
3. 방법 _ 4가지 통장
4. 활용 예시 _ 순자산 현황
5. 맺음말

 

1. 통장쪼개기란

  통장쪼개기란 목적/용도에 따라 통장을 여러 개 만들어 자금을 분배하고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목적 _ 편하게 관리

  통장쪼개기가 왜 필요한가? 자금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함입니다. 월급 통장과 적금통장만 가지고 있는 경우 생활비, 비상금, 투자 등 항목별로 성격이 다른 돈의 흐름을 추적하기 불편합니다. 자산현황을 파악하기 어렵고 불필요한 소비가 발생합니다. 통장쪼개기를 하면 카테고리별로 통장을 만들고 자금을 분배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3. 방법 _ 4가지 통장

  여러 개의 통장(계좌)을 만들어야 하는데, 크게 4가지입니다. 급여통장, 투자통장, 소비통장, 비상금통장입니다.

 

 

(1) 급여통장

  월급이 들어오는 통장입니다. 월급이 들어오면 월세, 통신비, 정수기 렌탈비와 같은 고정 지출을 자동납부하도록 설정합니다.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하고 수수료가 횟수 제한 없이 면제인 통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는 법. 수시 입출금과 수수로 면제 등의 혜택이 있으니 이율은 낮습니다. 따라서 투자통장이 필요합니다. 

 

(2) 투자통장

  예금, 적금, 주택청약, 주식, 펀드, 연금 등 투자자금을 관리하는 통장입니다. 저축도 큰 의미에서 투자로 포함했습니다. 월급의 가장 많은 비중이 투자통장으로 흘러가도록 세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일반적으로 월급의 50% 이상을 권하고 있지만 저는 90%를 투자자금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부모님과 함께 살아 월세 지출이 없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3) 소비통장

  한 달 생활비를 관리하는 통장입니다.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미리 정해 놓고 그 범위에서만 소비하여 지출을 통제할 수 있습니다. 중간에 돈이 부족하다고 해서 추가로 잔고를 늘리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그래서는 구태여 소비통장을 만든 이유가 없어지니까요. 처음 한두 달 자신의 소비패턴을 모를 때는 어느 정도 조정하면서 사용할 수 있겠지만, 그 후에는 처음 계획한 범위 안에서만 사용해야 합니다. 저는 월급의 10%를 소비통장에 넣어 생활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4) 비상금통장

  예상치 못한 지출을 대비한 통장입니다. 살다 보면 계획에 없던 지출이 꼭 필요한 경우가 생깁니다. 지인 경조사가 있거나 사고로 인해 갑자기 쓸 돈이 필요한 경우입니다. 그럴 때 비상금 통장에 있는 여유자금을 활용하면 됩니다. 공들여 계획한 투자통장, 소비통장이 무너지지 않도록 완충제 역할을 해줍니다. 수시 입출금이 가능하고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붙는 CMA나 파킹통장을 추천합니다. 

  여러 책이나 블로그를 보면 월급의 10%를 모아 평소 지출의 3~5배 정도를 유지하라고 하는데, 저는 비상금을 계획적으로 따로 모으지는 않습니다. 백오십만 원의 목표 금액은 가지고 있으나 월급의 일정 부분을 할애하지는 않고, 생활비 중 남는 금액을 비상금으로 모으고 있습니다. 현재는 목표 금액이 채워지지 않아서 남는 생활비를 비상금 통장으로 보내고 있지만, 목표 금액을 달성하면 투자통장으로 보낼 계획입니다.

 

 Tip 1) 사람들이 통장 쪼개기를 많이 하다 보니, 은행에서는 여러 계좌를 개설할 필요 없이 하나의 계좌 안에서 자금을 별도로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카카오뱅크의 세이프박스, KB국민은행 마이핏통장이 있습니다.

 

 Tip 2) 월급날과 고정지출 납부일, 각종 통장 자금 배분일을 같은 날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체 날짜가 동일해야 자금 흐름을 한 번에 파악하고 관리하기 편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월급날에 맞춰 매달 25일에 각종 이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Tip 3) 20일 계좌 개설 제한. 은행 또는 증권사에서 계좌를 개설한 후 (영업일) 20일 이내에 새 계좌를 만들 수 없습니다. 영업일 20일 기준이라 주말을 포함하면 사실상 한 달 후에 만들 수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여러 계좌를 개설하는 경우 시간 간격이 필요하니 통장쪼개기를 위한 모든 통장을 갖추는 데에는 몇 개월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4. 활용 예시 _ 순자산 현황

  예시로 제 통장쪼개기 현황을 공유드리면서 순자산 현황을 분석해봤습니다.

 

  아직 시드머니를 모으는 중이라 거의 모든 자산이 현금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향후 부동산 소액 투자를 하거나 개인사업(법인 설립 등)을 통해 분산시킬 예정입니다. 직장에서 지급되는 각종 포인트는 강의 수강이나 도서구입 등 교육비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5. 맺음말

  통장쪼개기 의미, 목적, 방법, 활용 예시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예전에는 월급 받은 걸로 그때그때 꼭 필요한 것만 사용하면 되지 굳이 저럴 필요까지 있나 싶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정말 하기 잘했다고 생각합니다. 통장쪼개기를 한 번만 해 놓으면 자산 현황을 한 눈에 파악하고 관리하기 편하기 때문입니다.

  이 글을 작성하면서 현제 제 순자산 현황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고민하기도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부동산, 채권, 개인 사업, 주식, ETF 등 지금까지 몰랐던 제도가 정말 많다는 것을 통감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시작은 통장쪼개기를 기본으로 한 자산 관리라고 생각합니다.

  아직은 미숙하지만 더 많이 공부해서 좋은 정보를 공유드리겠습니다.

 

 

※ 함께 읽으면 유익한 글

2021.11.29 - [분류 전체보기] - MG새마을금고 출자금 통장 개설

 

MG새마을금고 출자금 통장 개설

- 목 차 - 1. 출자금 통장이란 2. 출자금 통장 장점 3. 출자금 통장 단점 1. 출자금 통장이란 새마을금고, 농협, 신협, 축협 등의 상호금융 조합원으로 가입할 때 자본금을 넣어두는 통장입니다. 출

canvastory-kr.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