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 차 -
1. 조기졸업 개요
2. 조기졸업 요건
3. 신청기간
4. 조기졸업 요건 미충족시
5. 유의사항
6. 조기졸업을 한 이유
1. 조기졸업 개요
이 글은 학사과정 조기졸업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원칙적으로 8학기 의무등록을 해야 하지만 일정한 요건을 갖춘 경우에는 6학기 또는 7학기 등록 후 조기에 졸업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2. 조기졸업 요건
(1) 일반졸업 요건
학교, 학과, 입학 연도에 따라 졸업 요건을 상이할 수 있습니다. 이하 내용은 2019년 이전 입학자의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부 졸업 요건에 관한 것입니다.
- 8학기 등록
- 졸업학점 충족 : 전공 60학점, 전체 130학점
- 졸업평가 합격 : 졸업논문 제출, 우수학부생 연구학점제 이수, 교내 연구실 현장실습 중 택 1
- 전체 평점평균(졸업학점) 2.50 이상
- 3품 취득 : 인성품-봉사, 창의품-컴활자격증/지식재산권, 국제품-외국어 시험성적
- 공대생의 경우 아빅(ABEEK) 인증
(2) 조기졸업 요건
6학기 또는 7학기에 상기 졸업 요건을 모두 충족할 수 있는 학생으로, 6학기 또는 7학기 초 학사일정에서 정한 기간에 조기졸업 신청을 해야 합니다. 직전학기(5학기 또는 6학기)까지 성적 평점평균이 4.0 이상이어야만 신청자격이 주어집니다. (단, 학사/석사 연계과정생은 3.5 이상)
- 성적우수 조기졸업 : 전체 평점평균 4.00 이상
- 단, 학사/석사 연계과정생의 경우 : 전체 평점평균 3.50 이상
3. 신청기간
이전 조기졸업 신청기간 이력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조기졸업 신청 학기 | 조기졸업 신청 기간 |
2021 1학기 | 2/22~3/9 |
2020 2학기 | 8/31~9/8 |
2020 1학기 | 3/9~3/17 |
2019 2학기 | 9/2~9/11 |
2019 1학기 | 3/4~3/13 |
개강 첫주 정도가 조기졸업 신청기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 조기졸업 요건 미충족시
조기졸업을 신청했으나 조기졸업 요건을 모두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조기졸업은 탈락 처리되며, 일반학생과 같은 졸업요건을 적용받게 됩니다.
5. 유의사항
(1) 조기졸업은 신청 후에 취소할 수 없습니다
도중에 8학기 졸업을 희망하거나 수료 상태로 남기고 싶을 것 같은 분은 신중히 생각하신 후에 조기졸업을 신청해야 합니다.
(2) 공대생의 경우 아빅(ABEEK) 인증 여부 미리 확인하기
교과목 분류상의 전공 인정 학점과 아빅 요건에서 인정되는 전공 학점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엔지니어를 위한 경영관리' 과목을 이수하여 3학점을 취득한 경우 제1전공 학점으로 인정되지만 아빅 전공학점으로는 인정되지는 않습니다. 즉 졸업학점 중 전공 60학점에는 3학점이 카운트되지만, 아빅 전공학점에서는 3학점이 카운트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아빅 요건을 채우기 위해 나중에 다른 전공을 들어야 하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저는 마지막 학기까지 이 사실을 모르고 있었기 때문에 3학점을 쉬운 교양으로 채우려고 했다가 전공과목을 듣게 되었습니다..
(3) 졸업평가 미리 준비하기
대부분의 학생은 졸업논문 제출을 통해 졸업평가를 진행하고 있으며, 졸업논문 작성기간은 최소 1년 이상일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8학기 졸업을 하기 때문에, 3학년 2학기를 마치는 시기에 일괄적으로 졸업논문 지도교수 신청을 하라고 안내해줍니다. 조기졸업을 준비하는 경우에는 별도 안내가 없더라도 지도교수 신청기간에 개별적으로 미리 신청해야 합니다. 즉 2학년 2학기 또는 3학년 1학기를 마치고 졸업논문 지도교수를 미리 신청해야 1년 동안 졸업논문을 작성하고 1년 후에 졸업평가를 합격할 수 있습니다.
6. 조기졸업을 한 이유
저는 7학기 조기졸업을 했습니다. 조기졸업을 처음 생각했던 건 3학년 1학기 때 였습니다. 조기졸업을 결심한 이유는 5가지입니다.
(1) 가만히 책상 앞에 앉아서 책만 펴놓고 공부하는 시간이 아까웠습니다
주도적으로 진행하는 실습과목도 있었지만 거의 대부분이 일방적으로 지식을 주입받을 뿐이었습니다. 특히 현장실습을 통해 실무를 접하고 대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하루빨리 현업에서 일하고 경험을 쌓고 싶은 마음이 커졌습니다.
(2) 지금 배우고 있는 지식을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한 채, 시험과 학점을 위해 문제를 풀고 있는 시간이 아까웠습니다
수업시간에 교수님께서 설명해주시는 내용은 대부분 받아들일 수 있었고 연습문제도 곧잘 풀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제가 본질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는 건 아니었습니다. 그저 시험을 위해 문제를 풀고 있을 뿐, 내용 자체에 큰 흥미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어려운 내용이 나오면 그냥 외워서 풀었습니다. 대학교 시험은 외워서 풀면 망한다고들 하는데, 정말 내용이 어려우면 조금만 응용해도 학부생은 손도 못 대기 때문에 시험문제로 책에 있는 연습문제를 그대로 내는 교수님이 많았습니다. 덕분에 학점은 높았지만 내가 지금 이걸 왜 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3) 사용하지도 않을 지식을 배우는데 시간을 낭비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본질을 모르고 문제만 푸는 게 대체 무슨 의미가 있을까 고민했습니다. 대학을 졸업하고 나비아스톡스 방정식을 풀 일이 있을까? 처짐과 비틀림, 응력집중을 계산할 일이 있을까? 나한테 필요한 지식이 뭔지도 모른 채, 정규 커리큘럼이랍시고 누군가 정해 놓은 이 길을 따라가는 게 맞을까? .. 그에 대한 제 답은 No 였습니다. 제게 정말로 필요한 지식을 공부하고 싶었습니다.
(4) 산업의 최전선에서 실무를 배우고 경험을 쌓고 싶었습니다
실제 산업에서는 어떤 지식이 활용되고 있는지, 최신 기술동향은 어떤지, 그래서 내게 필요한 지식은 무엇이고 어떤 걸 공부해야 하는지 알기 위해서는 직접 실무에 뛰어는 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기술경쟁의 최전선에 있는 연구소에서 일을하며 경험을 쌓고 싶었습니다.
(5) 휴학으로 인해 뒤쳐졌던 시간을 조금이라도 만회하고 싶었습니다
저는 군휴학 말고도 중간에 잠시 휴학을 하고 다른 길을 준비했던 적이 있습니다. 다른 사람보다 늦어졌다는 생각에 그 기간을 조금이라도 단축하고 싶었습니다.
7. 마치며
조기졸업 요건, 유의사항, 그리고 조기졸업을 결심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저는 조기졸업을 했다는 사실이 만족스럽고 자부심도 가지고 있습니다. 계절학기를 한 번도 이용하지 않고 정규학기로만 학점을 채웠지만, 재수강을 한 번도 하지 않았기에 무리 없이 가능했습니다. 조기졸업을 처음 생각했던 게 3학년인데, 그전부터 미리 계획했다면 6학기 조기졸업도 충분히 가능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른 나이에 조기졸업을 생각하고 있다면 계절학기를 활용하여 6학기 만에 졸업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졸업하고 바로 취업 못하면 공백기가 생겨 불리하다는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이 때문에 수료만 하고 졸업을 미루는 경우도 있었지만, 지금은 의미가 없는 말입니다. 저와 비슷한 이유로, 혹은 전혀 다른 이유로 조기졸업을 준비하는 분이 계시다면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기를 희망합니다.
'정보 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섯 가지 유용한 부동산 정보 사이트 정리 (0) | 2022.01.05 |
---|---|
사회초년생 통장쪼개기 _ 순자산 현황 (0) | 2021.12.26 |
기계공학과 연구소 취업 스펙 (0) | 2021.12.01 |
MG새마을금고 출자금 통장 개설 (0) | 2021.11.29 |
윕스온(WIPSON) 특허검색과 데이터 시각화 (0) | 2021.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