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공유

MG새마을금고 출자금 통장 개설

by 캔버스토리 Canvastory 2021. 11. 29.
- 목 차 -

1. 출자금 통장이란
2. 출자금 통장 장점
3. 출자금 통장 단점

 

1. 출자금 통장이란

  새마을금고, 농협, 신협, 축협 등의 상호금융 조합원으로 가입할 때 자본금을 넣어두는 통장입니다. 출자금 통장에 납입한 돈은 해당 지점의 출자금으로서 자본금으로 활용됩니다. 해당 금액을 이용하여 1년간 운영을 하고 수익이 발생하면 배당해주는 형태로 운영됩니다. 따라서 일반 예금/적금과는 달리 주식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배당금은 이자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지만 영업실적에 따라 유동적이며, 일반적으로 배당율이 이자율보다 더 높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2. 출자금 통장 장점

(1) 배당금, 배당률이 높다

  MG새마을금고 홈페이지 - 전자공시 - 정기공시에 접속하면 각 금고별 배당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 예금/적금 이자율(1%)에 비하면 상당히 높은 배당율(2~5%)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 성남수정 새마을금고 공시자료 _ 출자배당율 약 4.7%

 

(2) 1천만 원 한도에서 발생하는 배당금에 대해서는 전액 비과세

  1인당 1천만원까지 배당금 전액이 비과세 대상입니다. 다만 각 지점마다 별도로 1천만 원 한도 비과세 적용이 아니라 모든 지점 출자금을 합하여 1천만 원까지가 비과세 대상입니다. 따라서 배당율이 가장 높은 지점에서 출자금 통장을 개설하고 1천만 원을 입금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은행 예금의 경우 이자의 15.4%를 세금으로 원천징수합니다.
  즉, 1년에 1.5% 이자를 주는 예금상품에 1천만 원을 넣는다면, 1년 뒤 15만 원의 이자가 발생하지만, 이 15만 원의 15.4%인 23,100 원을 원천징수하고 실제로 받는 이자는 (150,000 - 23,100 = 126,900) 원입니다.
  반면, 출자금통장은 1천만 원 한도에서 발생하는 배당금에 대해서는 전액 비과세하고 있습니다.
  즉, 출자금 통장에 1천만원을 넣어놨고 1년 후 5%의 배당을 받았다면 이자 50만 원에 대한 세금을 내지 않고 고스란히 취득할 수 있는 것이죠. 단, 1천만 원 이상의 금액에 대한 배당금은 세금을 내야 합니다.

 

(3) 세금우대

  출자금통장을 만들면 새마을금고의 조합원이 되어, 새마을금고 예금/적금 상품을 만들면 3천만 원까지 세금우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원천징수세 14%는 비과세 되며, 농특세 1.4%에 대해서만 납부하면 됩니다.
만약 새마을금고에 1만원을 출자해 출자금 통장 개설한 다음, 예금/적금 상품을 통해 3천만 원을 1년간 예치하면 이자소득에 대해 농어촌특별세(농특세) 1.4%만 내면 됩니다.

 

3. 출자금 통장 단점

(1) 회원가입과 해지

  출자금 통장을 개설하기 위해서는 최소 금액을 납입해야 하며, 금액은 지점마다 상이합니다 (보통 1만 원 내외). 전술한 바와 같이 세금우대를 위해 최소 금액만 내고 출자금 통장을 개설하기도 합니다.
  돈을 찾을 때 해지를 하게 되는데, 가입할 때 최소금액과 출자금 통장이 지점별로 상이했던 것과 달리, 가까운 새마을금고 어느 지점에서나 출금할 수 있습니다.
  주의! ) 해지는 연중 아무때나 할 수 있지만, 출금은 다음 연도 정기총회(2월) 이후에 받을 수 있습니다.

 

(2) 예금자 보호대상이 아닙니다

  출자금은 예금/적금이 아니라 조합원으로서 출자를 하고 배당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예금자 보호대상 금융상품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출자금 통장을 개설한 지점이 망하는 경우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새마을금고는 손실이 많아지면 인접한 다른 우수 새마을금고와 합병하여 손실금을 메운다고 하니, 실제 파산으로 이어져 출자금 원금을 손해 보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고 할 수 있습니다.
  MG새마을금고 홈페이지 - 전자공시 - 정기공시에 접속하면 각 금고별 종합등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등급 또는 2등급 금고에 출자금 통장을 개설하면 원금손실의 문제는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3) 중도인출 불가

  출자금 통장은 예금/적금 상품과는 달리 해지하고 바로 돈을 찾을 수 없습니다. 출자금 통장에 입금한 금액은 자본금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결산총회에서 경영성과를 확정한 후에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출금 가능일자가 해지한 다음 연도 2월~3월 경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또한 통장을 해지할 때 조합원 탈퇴를 해야 출금을 할 수 있습니다.
  즉, 출자금 통장에 넣는 돈은 1년간 사용하지 않을 돈이라고 생각해야 하고 당분간 안 써도 되는 여윳돈을 활용해야 합니다.
  참고로 다른 은행에서 새마을금고 출자금 통장으로 입금이 불가합니다. 새마을금고 출자금 통장의 경우 새마을금고 영업점, 자동화기기, 새마을금고 인터넷뱅킹에 한하여 입금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4. 마치며

  MG새마을금고 출자금 통장의 개념과 장단점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이자율이 정해져 있는 예금/적금과 달리 배당율이 성과에 따라 달라지는 특징이 있고, 일반적으로 이자율보다 높은 배당률을 가지고 있으며 세금 혜택이 있지만, 자유롭게 해지하고 출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장단점을 따져보고 자신에게 최대한 이익이 되는 금융상품을 활용하는 게 좋으니까요.

 


  저는 배당율이 준수하고 주거지에서 가까운 성남수정 새마을금고에서 출자금 통장을 개설하고 1천만 원을 입금했습니다. 11월 월급이 들어오니 드디어 월급통장에 쌓인 돈이 1천만원을 넘었고 이 돈을 어떻게든 활용하고 싶었거든요. 주식이나 다른 방식의 투자는 공부가 더 필요했기에, 우선 당장 모인 1천만 원은 1년 동안은 출자금 통장에 넣어 배당금을 받기로 했습니다. 저처럼 지금 당장 1천만 원을 사용하지 않을 분들은 출자금 통장을 이용해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새마을금고 실적이 좋기를 기대하며 글을 마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