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서 정보 및 주관적인 별점
- 도서명 :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2
- 저자 : 로버트 기요사키
- 출판사 : 믿음인
- 별점 : ★★★★
2. 책 내용 · 지식 정리 [Input]
1부: 각각의 사분면에 속한 사람들의 핵심적인 차이점.
2부: 어떤 사람이 돼야 하는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 X)
3부: 사분면의 오른쪽 면(B, I)에서 성공하기 위한 방법
[현금흐름 사분면] 우리의 현금이 어디서 비롯하는가. 돈을 얻는 출처에 따라 사람의 유형을 분류한다.
E: 봉급생활자 (employee)
S: 자영업자 또는 전문직 종사자 (self-employed)
B: 사업가 (big business)
I : 투자가 (investor)
추천 루트 : E/S → B → I. 경험과 교육을 위해 B를 경유. 스승 찾기, 프랜차이즈 구매, 네트워크마케팅 (다단계) 가입을 통해 빠르게 B 도달 가능.
[1~5 단계 투자가] (4단계와 5단계 차이점 상세 내용은 p186)
①금융 지능 전무 ②저축을 최고로 여김 ③타인에게 맡김 ④스스로 투자(S, DIY) ⑤자본가(B 사업 소유, I 투자)
[금융지식] ①단어와 숫자를 아는 것 ②진짜 위험을 간파하는 것 ③자산과 부채의 정의: 자산은 내 지갑에 돈을 넣어주고, 부채는 내 지갑에서 돈을 빼 간다.
사실과 의견을 구분하고 사실에 근거해 판단한다.
자본주의 게임의 진짜 이름은 ‘누가 누구에게 빚을 지고 있는가’이다. 나의 부채는 누군가의 자산이다.
돼라 →하라 →가지라: 생각의 방식을 바꿔야 한다.
3. 해석 · 감상 · 행동변화 · 아이디어 [Output]
[감상] 1권은 사분면 개념 소개 정도였고, 2권은 각 사분면의 특징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넘어가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사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할 때 가장 어려운 점은 그동안 내가 돈을 벌어온 방식에 대해 느끼는 애착을 극복하는 것이다. 단순히 습관을 고치는 정도가 아니라 중독에서 헤어나는 것과 비슷하다. 월급은 마약과 같다는 말에 공감한다.
‘멘토(스승)를 구하라(「레버리지」)’, ‘주말 세미나에 참석하라(「역행자」)’, ‘작게 시작하고 충분한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아이디어 불패의 법칙」)’ 등 서로 다른 책에서 B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비슷한 내용을 반복 강조하고 있는 점이 신기했다. 최종 목표는 사업체를 구축하고 부동산을 구입하는 것. 신뢰할 만한 성공 루트인 것 같다.
“너는 네 꿈을 실현시키는 것보다 개인적인 생존에 대해 더 걱정하고 있어. 두려움 때문에 열정을 잊어버린 거다. 네가 무엇을 하려고 했는지 항상 기억하렴. 사업을 만드는 건 열정이지 두려움이 아니란다. 포기하는 건 언제든지 할 수 있단다. 그렇다면 뭐하러 지금 포기하는 거냐?” → 열정을 찾으라는 멘트가 기억에 남는다.
자산과 부채의 양면성을 고려해보면 왜 저축에는 세금 혜택이 없는지, 은행은 왜 채무자를 좋아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 최근 신용등급을 조회해보니 800점 초반의 낮은 점수가 나왔는데, 부채가 없고 지출이 적은데도 신용점수가 낮은 이유를 납득할 수 있었다.
[행동] ①위험/리스크 정의하기 ②매주 다섯 시간 이상 경제 뉴스 보거나 투자/금융 세미나 참석하기
[목표] 경제적인 ‘빠른 길’에 들어서기 위해 특정 유형의 문제를 해결하는 전문가 되기. 커다란 문제는 커다란 기회를 의미하므로, 보다 큰 문제들을 찾고 해결하려고 노력하기. 블록체인, 해쉬 함수(Hash Function), 스마트 컨트랙(Smart Contract) 원리 공부하고 응용 방안 물색하자. + 종래 기술/시장 종류, 규모, 절차 학습하자.
'독서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인생의 ‘단 하나’는 무엇인가? (원씽) (0) | 2022.08.14 |
---|---|
Lucky = Luck + Key. 인생을 성공으로 이끄는 열쇠 (럭키) (0) | 2022.08.10 |
퇴사 후에 행복하게 살아가는 선배 이야기 (대기업 때려치우고 동네 북카페 차렸습니다) (0) | 2022.07.31 |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가볍게 접하는 입문서 (만화로 배우는 블록체인) (0) | 2022.07.26 |
순리자로 현재 상태에 머물 것인가, 역행자가 되어 목표를 쟁취할 것인가 (역행자) (1) | 2022.07.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