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기록

지금 내가 있는 자리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하자

by 캔버스토리 Canvastory 2022. 2. 18.

이 글은 우리가 끊임없이 성장해야 하는 이유와 지금까지 내가 발전해온 과정에 대한 기록이다.

 

 

1. 계속 앞으로 나아가는 이유

  우리는 상대 평가 세상에 살고 있다. 

 

  불과 작년까지만 하더라도 내 인생은 등수로 평가받는 세상에 있었다. 기말고사 석차, 수능 등급, 학점 순위, 채용 점수가 그러했다. 앞으로의 인생은 석차로 명확히 표시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대 평가가 계속될 것이라는 건 알고 있다. 부(富), 시간, 인간관계, 건강 등의 가치에서 비교 우위를 가질 수 있는가 하는 점 말이다. 이 시스템이 그리 싫지만은 않다. 남들보다 잘 살고 싶은 게 솔직한 마음이니까. 그리고 나는 충분히 해낼 수 있으리라는 믿음이 있으니까. 

 

 

2. 나의 발전 과정

  지금까지 다양한 미디어에서 많은 명언을 접해왔다. 그중 마음에 드는 구절은 적어 놓고 가치관으로 삼기도 했다. 하지만 남이 던져준 말은 얼마 못가 잊혔다. 그렇게 수많은 격언이 내 마음속을 스쳐 지나갔다. 

 

  여러 번의 시행착오 끝에 스스로 내린 하나의 신념을 가지게 되었다. 

  '지금 내가 있는 자리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하자'

 

  이 원칙을 바탕으로 지금까지의 내가 성장해온 과정을 공유하고자 한다.

 

  나는 남들보다 잘하는 게 뭘까. 순간적으로 폭발적인 퍼포먼스를 내는 능력은 없다. 벼락치기나 기억력, 순발력 등 말이다. 대신 오랜 시간 지속할 수 있는 능력은 있다. 그렇게 나는 내 강점을 활용해왔다. 멋지고 폼나는 형태는 아니다. 단기간에 이룩할 수 없고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할 수 있는 건 그것뿐이기에 다른 선택지가 없었다. 내가 할 수 있는 걸 할 뿐이었다.

 

  반만 가자. 중간만 따라가자. 버티자. 남들이 떨어져 나갈 때까지. 어려운 거 아니잖아. 평균만 하자.. 이 과정을 반복했다. 조금씩 앞으로 나아가면서. 그렇게 나는 천천히 정상을 향해 올라갔다.

 

 

(1) 현재 나의 위치를 0, 선두주자의 위치를 100으로 설정한다 (ex. 현재 나의 위치 0, 전교 1등의 위치 100)

(2) 1~100의 중간, 50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계획을 세우고 행동한다. 한 걸음에 100에 도달하겠다고 의욕만 앞서거나 너무 무리한 계획을 세우지 않는다. 

(3) 50에 도달했을 때 후순위 주자는 경쟁 대상에서 배제하고, 다시 그 시점 나의 위치를 0, 선두주자의 위치를 100으로 설정한다.

(4) 다시 1~100의 중간, 50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계획 & 행동한다. 

(5) 두 번째 50에 도달했을 때, 전체 누적으로는 75에 도달한 것이 된다.

(6) 이런 식으로 계속 반복한다. 이론상으로는 이 과정을 7회 반복하면 상위 1%에 들 수 있다. 

 

 

  최종적으로는 정점에 서는 것을 목표로 하되, 단번에 도달할 수 있는 허상을 쫒거나 요행을 바라지 않는다. 이 방식의 장점은 크게 두 가지라고 생각한다. 

 

 - 심리적으로 덜 힘들다. 매 순간 그저 중간을 따라가기만 하면 되므로.

 - 상위권으로 갈수록 경쟁은 더 치열해진다는 점을 반영하여 목표를 세우고 행동할 수 있다. 기울기가 점차 완만해지지 않는가.

 - 자신의 성과를 확인하며 점진적으로 나아가기 때문에 자신감이 붙는다.

 

  어느 순간 끝없는 무한 경쟁에 회의감도 들 때도 있다. 하지만 어느 분야건 정점을 찍고 싶다면 스스로 감내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지금까지 이룬 성과라고 해봐야 좋은 대학 들어가서 최우등 졸업하고 좋은 직장 취업한 것뿐이지만, 계속 발전해서 더 많은 경험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이 글이 누군가에게는 도움되었기를 바라며 마친다. 

 

 

  To. 그 누군가에게

  서로 분야가 다를지언정, 언젠가 각자 자신의 자리에서 정상에 올라 인사하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나와 당신의 성공을 기원하며..

 

댓글